레이블이 Revoluti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Revoluti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12월 18일 일요일

좌파정당 연구자들에게 바란다!

좌파정당 연구자들에게 바란다!

근래 좌파성향의 정당과 우파성향의 연구소 내 좌파정당 연구자들의 게으름과 편향성을 비판하고자한다. (노동당 내 사회당 그룹 , 정의당내 좌파그룹, 직접민주주의를 말하는 와글, 그외 민주당 성향의 연구자 모두 대동소이하다.)

새로운 형태의 좌파정당들을 소개해면서 의사결정과정에서 웹플랫폼 기반의 직접민주주의를 주되게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그 대표적 사례로 좌파민중주의정당인 스페인 포데모스를 소개한다.

주로 소개되는 의사결정과정에서 공동문서 작성 기능 을 가진 티탄패드, 댓글 토론과 의사결정 기능을 가진 루미오와 앱그리, SNS중의 하나이며 댓글과 공유,추천 순위를 주 기능으로 하는 레딧 기반의 프라자 포데모스 등의 온라인시스템을 써본건가? 테스트 해봤나? 직접 해보지 않은 듯하다. 그렇지 않고서는 이런 글들이 계속 생산될 수 없다. 그렇게 하나같이 해외 온라인 정치 평론 사이트의(오픈데모크라시,그린레프트,더 레프트,가디언 등등) 글을 번역하여 거의 그대로 일부 문장만 따서 가져만 오는 건 연구자로서 게으름의 발로가 아닐까? 그리고 그걸 일 대일로 국내에 대입 평가하는 건 위선 아닌가?

그들의 온라인 시스템은 철저하게 오프라인모임과 연계되어 있다. 시간적으로 보면 사전성과 동시성을 그리고 사후 평가를 함께 품은 개념이다.

그런데, 지금의 연구자료 또는 기사 그리고 최근의 시도들은 이에 반해 오프라인 모임과 이 과정에서 당대변인들의 역할, 당내 의견 주도 그룹들의 아래로 부터의 참여의 노력 그리고 광범위한 대중들과의 온오프라인 결합은 거의 생략하다시피 한다. 본질은 두고 외형에 집착한다.

오프라인의 분회와 같은 써클, 당원대회와 유사한 에셈블리(시민총회)의 중요성과 이 과정에서 대변인(당 간부와 리더)들의 끊임없이 지역 순회를 돌며 의제 해설과정과 결정과정은 사실상 생략하다시피 이야기하는가?

왜 참여의 자유를 시민들에게도 활짝 열어놓고 오픈된 공간에서 온라인으로 실시간으로 생중계되며 끊임없이 열리는 써클,어셈블리,대중집회는 제대로 이야기 하지 않는가?

그리고 우파의 논리를 분쇄하기 위하여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치열한 여론전에 대한 이야기도 없는가?

안토니오 그람시의 진지전에서 따와서 그들의 전략전술적 방향을 설정하고 진행되는 치열한 그들의 싸움은 왜 말하지 않는가?
페이스북, 유튜브를 통해 그들의 의제를 누구보다 상세히 해설하고, 주류와 종편의 정치 토론 방송에 대변인들이 나가 공통된 스탠스로 끊임없이 보수논객들과 토론하며 대중들에게 자신들의 메세지를 전달해 나가는 그 과정은 왜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가?

그들의 정당의 약점 정치적 모호성을 극복하고 당의 지향점을 달성하기 위해 수십만의 당원들과 수백만의 지지하는 대중들의 급진화를 이루어 내기엔 턱없이 부족한 정치 활동가과 인적자원을 늘리기 위해 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건 보이지 않는가?
그리고 이를 위해서 현장과 이론에 강한 활동가들이 많은 전통적 좌파정당들과 정파들과의 연대와 아래로부터의 통합 시도는 말하지 않는가?

자칫 새로움을 과도하게 강조하다 보니 포데모스란 정당이 온라인에서 모습만 과도하게 미화 되고 있다. 대중들과 만나는 접점을 늘리는 그 과정들은 생략되고 그 과정에서 정치적 리더(대변인과 의원)들의 역할은 무시되고 있는가?

왜, 치열하게 분석하고 있는 그대로 말하지 않는 건가?
당신들이 바라는 지향과 정치적 지형은 무엇인가?

있는 그대로 분석하고 전해라.

2014년 12월 14일 일요일

[노래에서 우리를 세상을 고민해보기 1] #비틀즈레볼루션 Revolution

[노래에서 우리를 세상을 고민해보기 1] #비틀즈레볼루션
영국 리버풀 노동자 계급의 자녀들 Beatles
"Hey Jude" 싱글 B "Revolution" (1968)
Revolution by Beatles

You say you want a revolution Well, you know We all want to change the world You tell me that it's evolution Well, you know We all want to change the world But when you talk about destruction Don't you know that you can count me out * [in] Don't you know it's gonna be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혁명을 원한다고
그래, 우리 모두가 변혁을 원하지, 역사의 발전이라고?
그래, 나도 역시 변혁을 원하지
그러나, 파괴를 얘기할 거라면, 거기에서 나는 빼 줘,
* [나중에 참여할 거야] 좋아질 거야, 괜찮아, 괜찮아,
You say you got a real solution Well, you know We'd all love to see the plan You ask me for a contribution Well, you know We're doing what we can But when you want money for people with minds that hate All I can tell is brother you have to wait Don't you know it's gonna be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진정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고? 그래, 우리 모두는 대안을 원해
나의 참여를 원한다고
그래, 우리 서로 각자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해
그러나, 돈을 증오하는 사람들에게 쓰기 위해 내 돈을 요구한다면
내가 할수 있는 말은, "좀 기다려 줘", 좋아질거야, 괜찮아, 괜찮아,
You say you'll change the constitution Well, you know We all love to change your head You tell me it's the institution Well, you know You better free you mind instead But if you go carrying pictures of chairman Mao You ain't going to make it with anyone anyhow Don't you know it's gonna be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all right
헌법을 바꾸겠다고? 그래, 우리 모두는 네가 유연한 사고를 하기 원해,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그래, 우선 너의 마음부터 자유롭게 해
그러나, 네가 그저 모택동의 사진을 들고 다니기만 한다면
누구와도 어떤 식으로도 일을 만들어 갈 수 없을 거야, 좋아질 거야, 괜찮아, 괜찮아,
* 출처 및 해당 블로거의 비평: (원문 : http://nowhereman.tistory.com/102)
첫 소절에 보면 "... you can count me out *[in]" 이라고 돼있고 해석도 그렇게 해 놓았다. 그런데 실제 노래에선 [in] 이 빠져있다. 어떻게 된 걸까.
사실 John Lennon이 이 곡을 처음 녹음한 건 "The Beatles" 앨범의
"Revolution 1" 이었고, 이 곡에는 [in]이 들어가 있다
그런데 싱글 version "Revolution"을 녹음하면서 굳이 [in]을 안 넣어도 되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허나 발매는 싱글이 먼저 되었고
이 노래를 들은 당시 미국와 유럽의 좌파들은 "... count me out ..." 부분에 대해 
많은 불만을 표시하였다.
이에 대해 John Lennon은 나중에 Playboy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 I want to see the plan. ... Count em out if it's for violence. Don't expect me on the barricades unless it's with flowers. As far as overthrowing something in the name of Marxism or Christianity, I want to know what you're going to do after you've knocked it all down. ... If you want to change the system, change the system. It's no good shooting people."
"... 난 대안을 보기 원해요. ... 그저 폭력만 사용할 거라면 날 빼달란 거죠
꽃을 들고 나서는 게 아니라면 내가 바리케이트 앞에 설 거라고
기대하지 마세요. 마르크스의 이름과 기독교 정신의 이름으로 돌멩이만 집어 던진다면
이후 모든 게 파괴 되고 난 다음에는 뭘 할 거냔 말이죠. ... 시스템을
바꾸고 싶다면 시스템을 바꾸세요. 사람들에게 총질을 해서 뭘 얻겠냐구요."
그래서 위의 가사에 * 표시와 함께 [in] 이라고 써 놓았고, 그렇게 해석을 해 놓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