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초롱 블로그 스페인, podemos, 포데모스, 그리스, syriza, 급진좌파 연합, 시리자, 진보정당, 진보주의자, 선거를 통한 혁명, 베네수엘라, 통합사회당, PSUV, 진보적 민주주의 세상아 덤벼라!!! 다함께 즐겁게 살아보자
2014년 8월 22일 금요일
건당위업 영화
http://www.dailymotion.com/video/xtaa98_%EA%B1%B4%EB%8B%B9%EC%9C%84%EC%97%85-0_webcam
http://www.dailymotion.com/video/xtaaab_%EA%B1%B4%EB%8B%B9%EC%9C%84%EC%97%85-1_webcam
http://www.dailymotion.com/video/xtaab7_%EA%B1%B4%EB%8B%B9%EC%9C%84%EC%97%85-2_webcam
2014년 8월 1일 금요일
랜드 앤 프리덤 (Land And Freedom)영화 소개
랜드 앤 프리덤 (Land And Freedom) 1995년 스페인, 영국, 독일
1936년 프랑코(Francisco Franco) 파시스트 군부쿠테타(coup d'état)에 대항한 민주정권을 사수하려는 노동자계급 민병대의 혁명운동이었던 '스페인내전'(Spanish Civil War)을 배경으로 국제적인 시민민병대원(Militia)으로 참전하였던 이들이 혁명과 자유를 위해 벌이는 싸움을 그린 전쟁영화
감독 : 켄 로치 Ken Loach
주연 : 이안 하트 Ian Hart 로자나 패스터 Rosana Pastor 이시아 볼레인 Iciar Bollain 톰 길로이 Tom Gilroy 마크 마르티네즈 Marc Martinez 프레더릭 피에롯 Frederic Pierrot 폴 라베티 Paul Laverty
주연 : 이안 하트 Ian Hart 로자나 패스터 Rosana Pastor 이시아 볼레인 Iciar Bollain 톰 길로이 Tom Gilroy 마크 마르티네즈 Marc Martinez 프레더릭 피에롯 Frederic Pierrot 폴 라베티 Paul Laverty
처음 스페인내전에 참전한 국제적인 자원민병대원들은 '마르크스주의 통일노동자당, 즉 스페인노동자당(POUM)이나 무정부주의자(CNT)소속으로 내전에 참전하지만 소련군이 본격적으로 참전한 이후 공산당, 엄밀하게 스탈린주의자들의 지원을 받는 국제여단(International Brigade)에 통합된다. 이 과정에서 내부분열로 또 다른 내전을 겪기도 한다.
이 국제여단(International Brigade)은 1919년 결성된 국제공산당연합 '제3인터내셔널(Communist International)이 프랑스 파리에서 조직한 외국의용군으로 총 7개 여단으로 편성되었고 대프랑스 및 벨기에의 '파리 코뮌 대대', 미국의 '에이브러햄 링컨 대대', 영국 대대 등 지원병의 국적에 따라 나뉘어 구성되었다 국제여단의 구호는 'No pasaran' (그들은 통과하지 못한다!)였다.
이 국제여단(International Brigade)은 1919년 결성된 국제공산당연합 '제3인터내셔널(Communist International)이 프랑스 파리에서 조직한 외국의용군으로 총 7개 여단으로 편성되었고 대프랑스 및 벨기에의 '파리 코뮌 대대', 미국의 '에이브러햄 링컨 대대', 영국 대대 등 지원병의 국적에 따라 나뉘어 구성되었다 국제여단의 구호는 'No pasaran' (그들은 통과하지 못한다!)였다.
1994년 영국 리버플에서 데이빗 카(David Carr)라는 노인이 심장마비로 숨지고 그의 손녀 킴(Kim)이 유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모로코수비대'의 프랑코장군이 군부쿠테타를 일으키는 신문기사로 시작하는 스페인내전에 참전한 자료를 보게 된다.
영국공산당원이었던 데이빗 카((David Carr)는 스페인내전에 대한 소식을 듣고 이상적인 혁명운동을 위하여 스페인으로 들어간다. 그곳에서 스페인노동자당(POUM)이 이끄는 민병조직(Militia)에 입대한다. 기초군사훈련을 마친 그는 다른 동료들과 함께 아라곤지역에서 무정부주의자연합(CNT)와 더불어 파시스트 반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는 비달(Juan Vidal)이 지휘하는 POUM 민병조직(Militia)에 배치를 받는다.
스페인노동자당(POUM) 민병대(Militia)에 의해 대지주, 자본가, 카톨릭, 군부 등의 파시스트를 몰아낸 해방공간에서는 주민들의 토론과 합의를 거쳐 '토지'의 집단화 등을 통해 '코뮌'을 구성하는 등 이상적인 공산주의 사회를 만들어 나간다.
마을을 해방시킨 스페인노동자당(POUM) 민병대(Militia)는 다시 부대로 복귀를 한다. 전투 중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블랑카(Blanca)를 위로하는 과정에서 데이빗 카((David Carr)는 서로 좋아하는 단계로 발전한다.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당은 대파시스트 전선에 투입된 스페인노동자당(POUM)이나 무정부주의자연합(CNT)의 민병대(Militia)에게 국제여단(International Brigade)으로 통합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민병대원들은 '혁명의 중심'에서 노동자계급을 제대로 대변하기 위해 자체적인 무장투쟁을 결의하지만, 일부 현실주의자들은 파시스트군부와의 전투를 위해서는 잘 훈련된 소련군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스페인노동자당(POUM) 민병대(Militia)로 혁명운동을 지속하기로 한 데이빗 카((David Carr)는 신병들을 훈련시키는 도중 부실한 총탄이 총구에서 폭발하면서 부상을 당하고 바로셀로나의 병원으로 후송된다.
바로셀로나의 병원에서 퇴원한 데이빗 카((David Carr)는 이미 또 다른 내전을 겪는 혼란 속에 빠져든다. 소련공산당의 지원을 받는 스탈린주의자들은 내전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대파시스트전쟁과는 별도로 스페인노동자당(POUM)이나 무정부주의자연합(CNT) 지도부와 민병대(Militia)에 대한 숙청을 자행한다.
이미 스탈린주의를 또 다른 형태의 '노동자계급'에 대한 독재로 규정한 스페인노동자당(POUM)이나 무정부주의자연합(CNT)은 이들에 대항하지만 소련의 군사지원을 받는 공산당을 이길 수가 없는 처지이다.
데이빗 카((David Carr)는 강력한 혁명을 위해서 '군사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국제여단(International Brigade)에 참여하지만 "혁명의 순수성"이 없어지고 적의 개념마저도 모호해진 혼란이 싫어 바로셀로나를 떠나 아라곤의 스페인노동자당(POUM) 민병대(Militia)에 다시 합류한다.
파시스트 군부와 전투를 빈약한 무기로 전투를 치르는 이들에게 공산당은 제대로 무기를 지원하지 않으며 스스로 고사당하기를 기다린다. 순수한 혁명의 열정만이 남아있는 이들은 진정한 '코뮌'을 위해 어려운 투쟁을 계속하여 나간다.
그러나 이들을 지원하여 반파시스트전쟁을 이끌어야 하는 입장에서 소련의 사주를 받는 공산당과 국제여단(International Brigade)은 스페인노동자당(POUM)이나 무정부주의자연합(CNT)의 지휘부를 체포, 고문하여 파시스트 첩자로 몰아 숙청하고, 민병대원들을 해체한다. 이 과정에서 저항하던 민병대원을 만류하던 블랑카(Blanca)가 전사하고 데이빗 카((David Carr)는 영국 리버풀로 돌아온다.
1994년 영국 리버풀, 데이빗 카((David Carr)의 장례식에 모인 손녀와 옛 전우들은 지난 날 꿈꾸었던 '혁명전사'의 마지막을 불끈 주먹진 팔을 들어 혁명가를 부르며 보낸다.
"전투에 참여하라! 아무도 실패할 수 없다. 육신은 쇠하고 죽어가더라도 그 행위들은 모두 남아 승리를 이룰 것이므로..." - 윌리엄 모리스
# 스페인: 전쟁과 혁명 - 영화[랜드 앤드 프리덤]이 다루지 않은 사실들
# 명분을 위하여 목숨 걸고 앞장서서 스페인 내전에 달려간 사람들 - 오마이뉴스 2003-09
가슴 아픈 역사의 한 모습이다. 이 아픔은 단지 '스페인 내전'뿐아니고 우리의 역사속에서도 같은 뿌리와 줄기로 존재하는 것이기에 영화를 보는 내내 아픈 마음이었다. 한때 '러시아혁명사'를 읽으며 그들의 혁명정신에 감명받고 그들처럼 되고 싶다는 결심을 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이후 스탈린과 트로츠키의 비극적인 권력투쟁과 또다른 권력으로 성장하는 스탈린주의를 알게 되면서 그 환상이 깨어졌던 추억이 있다.
일제강점기의 해방전쟁 속에서, 박정희 유신정권의 민주화운동 속에서, 전두환 군부독재의 민주화투쟁 속에서 우리의 선배와 동료들은 진정한 민중해방을 위한 '혁명'을 꿈꾸기도 했다. 그런 과정에서 처절한 삶의 고통을 겪기도 했는데 그런 모습이 이 영화의 이상주의자들과 오버랩이 된다.
전쟁영화를 통해 '역사'를 뒤돌아보면 역시 "역사는 수레바퀴로 돌고 도는 것인가!"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변증법적으로는 돌아도 발전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tt - 스티븐의 영화보기
2014년 7월 19일 토요일
서평 - 알렉스 캘리니코스, ≪『자본론』 해독: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그것 의 운명≫ 마르크스는 왜 오늘날에도 의미 있는가
서평 - 알렉스 캘리니코스, ≪『자본론』 해독: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그것의 운명≫
마르크스는 왜 오늘날에도 의미 있는가
마크 L 토마스
<노동자 연대> 131호 | online 입력 2014-07-19
최근 몇 년간 칼 마르크스의 걸작 ≪자본론≫에 대한 관심이 실제로 되살아났다.
마르크스주의 저술가 데이비드 하비의 ≪자본론≫ 강독이 큰 성공을 거둔 것이 가장 눈에 띄는 징후 중 하나다. 알렉스 캘리니코스의 새 책은 이 추세에 큰 힘을 더할 것이다.
자본가들 자신의 이론은 최근의 경제 위기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자본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의 혁명적 연구가 인기를 얻는 것은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심지어 경제 위기가 시작된 2007년 이전에도 자본주의가 사회를 조직하는 최상의 방식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마르크스는 학술 활동으로서 ≪자본론≫을 집필하지 않았다. 그는 자본주의를 전복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자본주의 생산양식을 분석하는 방법을 발전시켰다.
캘리니코스는 노동계급의 구조 변화를 둘러싸고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논쟁을 다뤘다. “그 논쟁들에서 ≪자본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이냐 하는 문제가 묻어나는 것을 보면, ≪자본론≫이 지금도 생명력 있는 저작임을 알 수 있다.”
≪『자본론』 해독≫은 어떤 면에서는 캘리니코스가 “성인이 된 뒤의 삶을 모두” 바쳐 연구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자본주의에 맞서 싸우는 혁명가들을 무장시키기 위해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이해하려고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보여 준다.
캘리니코스는 이렇게 주장한다. “≪자본론≫을 읽는 요령은 마르크스가 공들여 요약한 진술을 만들었다가 고치고, 범주를 이렇게 나열했다고 저렇게 바꾸는 과정을 따라가는 동시에, 하비가 멋드러지게 강조했듯이 큰 그림을 놓치지 않은 것이다.”
그러면서 캘리니코스는 ≪자본론≫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최근 논쟁에서 유용한 통찰들을 이끌어 냈다. 또한 일부 주장들의 한계와 혼란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마르크스가 쓴 방대한 원고들이 최근에 더 많이 출판된 덕분에, ≪자본론≫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크게 신장될 수 있었다. 캘리니코스가 말했듯이, 마르크스는 “글을 쓰며 생각하기”를 좋아했다. 그리고 마르크스의 “실험실”[자본주의 경제 현실]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늘어난 덕분에, 우리는 마르크스의 방법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1857년 마르크스는 십중팔구 최초였을 세계 경제 위기의 발생을 목격했다. 세계 경제 위기를 보며 그는 훗날 ≪자본론≫으로 이어질 경제학 연구를 시작했다.
마르크스가 영국 국립도서관에서 ≪자본론≫을 쓸 수 있었던 것은 특별히 좋은 조건이었다. 그 도서관이 있는 런던은 영국 제국의 중심지였다. 런던은 최초로 산업화된 나라의 상업적금융적 중추였다.
그런 런던에서 마르크스는 이 격동적인 새 형태의 생산과 사회에 내재한 모순들을 모두 이해하려 애썼다.
캘리니코스의 책은 마르크스의 책을 소개하는 입문서는 아니다. 캘리니코스의 책은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본질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개념들을 발전시키고 수정하면서 마련한 방법에 집중한다.
외관
마르크스의 방법은 중요하다. 자본주의 이전의 착취 체제들과 달리 자본주의에서는 겉으로 드러나는 겉모습(이하 현상)과 본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의 핵심은 노동자다. 노동자는 겉보기로는 자유롭고 자발적으로 자본가와 거래를 한다. 노예제 사회와 달리 자본주의에서 착취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
금융시장에서 돈은 노동자의 노동과 상관없이 더 많은 돈을 만들어 내는 힘을 가진 듯이 보인다.
신용 파생상품 같은 복잡한 금융적 수단들이 노동자 착취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사실은 잘 숨겨져 있다.(경제 위기가 터지기 전까지는 말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관계의 숨겨진 본질을 이해하고 왜 그 본질이 현상과 매우 다른지를 설명하고자 했다.
캘리니코스가 중요하게 강조하는 것은 마르크스가 자본을 사회관계망으로 이해했다는 점이다. 자본주의 체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관계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해야 한다.
마르크스가 말했듯이, “면직물 공장의 노동자가 그저 면직물만 만들어 내는가? 아니다. 그는 자본을 생산한다.”
두 가지 주요 관계가 자본의 중심에 있다. 첫째,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다. 생산수단을 지배하는 자본가들은 임금노동자를 착취할 수 있다. 임금노동자들은 자본가를 위해 일할 능력 말고는 생존 수단이 없다.
둘째, 자본가들 사이의 관계다. 이 관계의 토대는 경쟁이다. 자본가들은 경쟁에서 패배하면 경쟁사에 합병되거나 파산하게 된다.
그래서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을 가차없이 착취하지 않을 수 없다.
뛰어난 고전파 정치경제학자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는 이 새로운 체제의 근본 원리들을 포착했다. 마르크스는 그들의 통찰을 계승했을 뿐 아니라, 그들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노력했다.
리카도는 스미스보다 더 분명하게 노동가치론을 전개했다. 노동가치론은 상품의 가치가 그것을 생산하는 데 들어간 노동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상이다.
노동가치론은 자본의 착취적 본질을 콕 짚어 낸 중요한 통찰이었다. 그러나 리카도는 이 이론이 자본주의의 여러 양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지 못했다. 그런 양상들이 그 이론과 충돌하는 듯이 보였기 때문이다.
그 덕분에, 자본주의에는 착취가 없다고 말하고 싶었던 다른 경제학자들은 리카도의 이론이 일관되지 못하다면서 그것을 폐기해 버렸다.
캘리니코스는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위한 여러 원고를 쓰는 과정에서 어떻게 리카도 사상의 결함을 극복했는지를 보여 준다.
그 과정에서 마르크스는 뛰어난 독일 이상주의 철학자 게오르크 헤겔의 업적에 의지했다. 물론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유물론적 방법을 발전시키기 위해 헤겔의 개념을 수정해야 했다.
캘리니코스는 독자들이 이 사상가들의 사상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래서 이 사상가들을 잘 알지 못하는 독자들은 이 장(章)의 논의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자본주의 역사 내내 주류 경제학자들을 혼란에 빠뜨린 복잡한 문제이다.
현대 자본주의의 주요 특징들을 이른바 ‘전문가’들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은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일이다. 캘리니코스가 이 책의 후반부에 다루는 두 가지 영역에서 특히 더 그렇다.
캘리니코스는 데이비드 하비를 포함한 많은 최근 사상가들이 자본주의 체제에서 임금노동이 하는 구실의 결정적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한다.
착취
그러나 마르크스가 중요하게 지적한 것 하나는 임금노동자 착취가 자본주의의 핵심이라는 점이었다고 캘리니코스는 주장한다.
캘리니코스는 이렇게 쓴다. “마르크스의 주변에는 급진적 사상가가 많았다. 그들은 착취를 자본가들이 시장의 법칙을 부당하게 조작한 결과로 봤다.
“마르크스는 자본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착취가 노동력이 상품이 된 일반적인 상품 생산 체제의 ‘정상적’ 특징임을 보여 주고자 했다.”
자본이 노동자를 기계로 대체하고, 그래서 불완전 고용이나 실업 상태의 산업 예비군을 창출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자본은 또한 계속해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해, 낡은 산업 부문에서 쫓겨난 노동자들을 때때로 그 새로운 산업으로 끌어모은다.
자본주의는 새로운 노동자 집단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노동시장에 들어오지 못했던 여성이나 토지를 빼앗긴 농민들을 노동자로 만든다.
실제로 지난 30년 동안 나타난 주요 특징은 동아시아에서 산업 자본주의가 성장하며 임금노동자가 엄청나게 확대됐다는 것이다.
자본주의는 여전히 임금노동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과거 어느 때보다 많이 그렇다.
그 덕분에 노동자들은 캘리니코스가 말했듯이, “생산 과정을 방해하고, 마비시키고, 장악할 수 있는 집단적 능력”을 계속 얻게 된다.
캘리니코스는 마르크스의 경제 위기 이론을 다시 살펴본다. 캘리니코스는 마르크스가 어떻게 그리고 왜 자본주의가 때때로 위기에 빠지는지를 설명하는 세련되고 다중적인 이론을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위기를 다룬 긴 장에서 캘리니코스는 이렇게 주장한다. “위기가 중요한 이유의 하나는 그것이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모순들을 집중시키고 요약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위기가 ‘부르주아 세계의 생존’이 당연한 것이 아님을 공공연하게 알려 주기 때문이다.”
그 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윤율 저하 경향과 금융시장의 구실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시키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자본이 확대되고 파괴되는 데서 금융시장의 호황, 거품, 폭락의 순환이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봤다.
이 점이 캘리니코스가 마르크스의 ≪자본론≫에 관해 논의한 가장 중요한 요점이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낡았기는커녕, 자본주의를 이해하는 데서 놀랄 만큼 신선한 의미를 여전히 지니고 있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세계는 여러 면에서 한두 세대 전의 세계보다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그렸던 세계와 훨씬 더 닮았다.
1970년대 말 이후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핵심 특징 하나는 금융 시장에 대한 국가의 강력한 규제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국제 무역, 세계적 생산망, 금융의 엄청난 성장, 경제 위기의 빈번한 발생 등은 마르크스에게도 익숙한 일이었을 것이다.
마르크스의 방법은 오늘날 자본주의에 맞서 계속 투쟁을 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여전히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번역: 이진화
출처 : 영국 반자본주의 주간지 <소셜리스트 워커> 2411호
피드 구독하기:
글 (Atom)